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56)
단락비(전기기사 단답) 단락비 파트도 시험에서 심심치 않게 볼수 있습니다. 주로 단락비가 클때 크기( ) , 안정도( ), 효율( ), 전압 변동률( ) 와 같이 옆에 괄호를 뚫어 놓고 안에 글을 적는 식으로 출제되어집니다. 아니면 위의 식을 사용하여 단락비를 구하게 되는데 정격전류와 단락전류를 직접 구하여 식에 집어넣게 되는데 그렇게 어렵지 않은 기본공식으로 구하기 때문에 단락비가 클때와 작을때의 비례관계를 제대로 알아주시면 되겠습니다.
전동기 역회전 방법 전동기에 관련한 문제는 전기기사 실기에서 자주 나오는 편인데요 역회전 방법에 대해서도 자주 물어보는 편입니다. 어렵지 않게 단순 암기로 외워주셔도 되고 이해하면서 풀어주셔도 되는데 전기기사 필기때 전기기기 파트를 열심히 하셨으면 따로 외우지 않으셔도 쉽게 가져갈 파트인것 같습니다. 물론 여기있는 전동기 말고도 훨씬 많은 전동기들이 있고 출제빈도가 높은 것들만 정리해 보았습니다. 단상유도 전동기 3상유도 전동기 직류직권 전동기의 역회전 방법을 혼동하지 않고 이번기회에 확실히 가셔가시면 되겠습니다.
전동기 과부하보호장치 종류, 전동기에 과부하 보호장치 설치하지 않는 경우 전동기란 전기 에너지를 역학적 에너지 로 바꾸어주는 일을 합니다. 이번엔 그중에서 전동기에 여러이유로 과부하가 생기는걸 보호해주는 전동기 과부하장치 5종류와 전동기에 과부하 보호장치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 4가지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보호장치는 크게 퓨즈, 차단기, 계전기 등이 있다고 생각하시면 되고 과부하 보호장치 생략하는 부분은 글이 은근 길어서 잘 외워지지 않지만 빨간색으로 표시한 키워드들을 중점으로 암기해 주시면 조금더 쉽게 외우실 수 있습니다.
기준충격절연강도(BIL) 전기기사 실기에서 기준충격절연강도에 대한 출제빈도는 그렇게 높지는 않지만 모르고있다면 틀리수 밖에 없는 문제고 그렇게 어렵지도 않기 때문에 이번기회에 한번에 머릿속에 넣어가면 좋을것 같습니다 밑의 공칭전압과 정격전압은 식을 사용하여 주로 푸는 문제로 나오기 때문에 식을 암기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기준충격 절연강도에 관련한 문제유형은 아직까지는 변화하지 않았기 때문에 1. 기준충격 절연강도란? 2. 차단기의 정격전압구하기 의 2문제로 보통 나오기 때문에 정격전압을 구하는 식과 BIL을 구하는 식 기준충격 절연 강도가 무엇인지 정확히 적을수 있으면 넘어가셔도 되겠습니다.
기동보상기법, 콘덴서 기동형, 리액터 기동방식 전기기사 실기에는 위의 3가지 보다 더 많은 기동방식이 나오지만 단답으로 출제되는 비중이 높고 서로 헷갈리기 쉬운 기동방식 3가지 입니다 기동보상기법, 콘덴서 기동형, 리액터 기동방식 입니다. 주로 시퀀스 문제에 소문제 단답으로 출제되는 경우가 흔하고 아예 따로 단답으로 출제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기동보상기법과 리액터 기동방식의 큰 차이점은 기동보상 기법은 단권변압기로 전압을 저감하고 , 리액터 기동방식은 리액터로 전압을 저감 시킨다는 것 입니다 콘덴서 기동형 말고도 반발기동형, 분상 기동형, 셰이딩 코일형 등 다양한 기동방식 이 있으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에너지 절약 동력설비측 방안, 수변전 설비 에너지 절약 대책 에너지 절약 대책에 관련한 헷갈리는 두단답입니다. 변압기와 발전기의 병렬운전 조건이 헷갈리는 것 처럼 역시나 여기도 수변전 설비, 동력측 설비 이 두가지 부분에서 헷갈릴수 있습니다. 쉽게 보면 "수변전 설비 = 변압기" , "동력측 설비 = 전동기" 로 생각하고 단답을 외우시면 혼돈하지 않고 외우실수 있겠습니다.
스포트네트워크(spot network) 배전 방식 스포트 네트워크 배전방식은 단답으로 자주 등장하는 단답입니다 스포트 네트워크 배전 방식의 특징 4가지와 스포트 네트워크 (SPOT NETWORK) 배전방식이 무엇인지 위와같이 설명할수 있으면 되겠습니다. 통째로 외우기 보다는 이해를 하면서 한번씩 쭉 읽어보시는게 훨씬더 이해하시기 편합니다.
가공전선로와 비교한 지중전선로의 장단점 출제빈도는 평범한 수준인 기본 단답입니다. 가공전선로와 비교한 지중전선로의 장단점 인것을 유의해 주시고 가공전선로는 공중에 가설한 전선로 지중전선로는 땅속에 시설하는 전선로 입니다. 이러한 내용을 알고 장단점을 비교해 보면 조금더 쉽게 이해할수 있습니다.

반응형